반응형
커버드콜 ETF의 수익 구조는 실제 예시를 들어 이해할 수 있습니다. 아래에서는 ‘BJ전자’라는 가상의 주식과 함께, 커버드콜 전략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구체적으로 계산해 설명합니다.
예시 조건
- BJ전자 주식을 1주 8만 원에 매수
- 동일 수량의 콜옵션(행사가 8만 원)을 3,000원에 매도(옵션 프리미엄)
- 기간 종료 후 주가 시나리오별 결과
시나리오별 수익 계산
시나리오주가수익 계산 구조최종 수익
횡보 (8만 원) | 8만 | 옵션 무효, 주식 평가손익 0, 프리미엄 수익 3,000원 | 3,000원 |
약상승 (9만 원) | 9만 | 콜옵션 행사됨, 주식 1만 상방 포기, 프리미엄 3,000원 | 3,000원 |
약하락 (7만 원) | 7만 | 옵션 행사X, 주가손실 -1만, 프리미엄 3,000원 | -7,000원 |
강상승 (10만 원) | 10만 | 콜옵션 행사, 수익 2만 상방 포기, 프리미엄 3,000원 | 3,000원 |
강하락 (6만 원) | 6만 | 옵션 행사X, 주가손실 -2만, 프리미엄 3,000원 | -17,000원 |
해설
- 주가가 8만 원에서 크게 변동이 없거나 소폭 상승하면 옵션 프리미엄 3,000원이 고스란히 수익이 됩니다.
- 주가가 강하게 오를 경우(예: 9만, 10만), 일반 주식 투자라면 이익이 커지겠지만, 커버드콜 ETF는 옵션 행사로 인해 주가 상승의 추가 이익은 누리지 못하고, 옵션 프리미엄만 받게 됩니다.
- 주가가 하락할 때는 옵션 프리미엄이 하락분을 일부만 메우고, 나머지는 손실로 반영됩니다.
- 이런 구조 때문에 대체로 정기적으로 옵션 프리미엄(월 기준 연 10~15%)을 얻는 대신, 급등장에서는 수익에 한계가 있고, 하락장에서는 일부만 방어가 됩니다.
커버드콜 ETF는 위의 구조에 따라 다양한 시나리오에서 수익이 제한 또는 하방 방어가 있지만, 꾸준한 월 분배금(월배당) 구조를 통해 안정적 현금흐름을 노리는 투자자에게 적합하다는 특징이 있습니다.
반응형
'ETF로 파이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커버드콜 ETF의 개념과 전략 (0) | 2025.09.23 |
---|---|
금리 인하와 미국 ETF와의 관계 (0) | 2025.09.21 |
미국 배당 ETF의 종류와 특징 (0) | 2025.09.16 |
해외 ETF의 세금 혜택과 절세 전략은 무엇인가 (0) | 2025.09.15 |
노후 대비, 왜 미국 S&P500 ETF일까? (1) | 2025.09.14 |